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담화의 구성 요소

by 오레이디 2022. 7. 8.

앞에서 담화는 발신자가 특정한 장면에서 특정한 목적을 가지고 어떤 의도를 수신자에게 전달하고자 표현하는 발화나 발화의 연쇄로 이루어진다고 보았다. 담화는 의사소통의 의도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된 맥락 화 된 언어로 볼 수 있다. 여기에서 수행된 언어란 담화를 구성하는 요소인 필자, 독자, 메시지, 상황이 전제됨을 의미한다. 이것들은 담화 연구의 주요한 변인이 된다. 담화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앞에서 제시한 것처럼 의미나 생각, 의도를 전달하는 사람이 있어야 하고, 또 이를 수용하는 사람, 그리고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 또 이러한 작용이 일어나는 상황이 있어야 한다. 

그런데 특정 상황에서 사용되는 언어의 형식은 기능으로부터 독립하여 존재할 수 없고 화자의 의도와 분리될 수 없으므로 담화연구는 담화 참여자, 언어 형식, 담화 기능, 담화 상황을 함께 다루게 된다. 또한 담화는 의사소통을 위하여 사용하는 언어 행위이므로, 담화 연구는 직관에 근거한 인위적 자료가 아닌 실제 자료를 대상으로 한다. 담화의 단위는 발화이며, 발화는 흔히 문장보다 큰 단위로 나타난다. 이런 이유로, 문장 이하 단위의 이론적 연구와 대비되는 실제적 언어 연구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실제 언어 수행의 결과인 담화는 맥락 의존적으로만 해석되고 필연적으로 추론을 수반하게 되므로, 담화에서의 언어 사용에 대한 분석은 인간 생활에서 언어의 목적과 기능에 대한 분석으로부터 분리해서 해석하기 어렵다. 담화는 전달 매체에 따라 문어 담화와 구어 담화로 구분할 수 있다. 

구어 담화는 일정한 의사소통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된 구어 언어 형식을 가리키며, 문어 담화는 문자 언어로 쓰인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구어 담화와 문어 담화의 구별은 단순히 구어냐 문어냐 하는 언어 자료 차이에만 있는 것은 아니다. 즉, 구어 담화와 문어 담화는 담화 참여자, 담화의 구조나 사용되는 어휘, 표현, 상황 등에 있어서 맥락의 차이를 보인다. 구어 담화인 말하기와 듣기는 동시적으로 발생하여 화자와 청자가 교대되면서 상호 교섭하여 조화를 이루는 일련의 과정으로 의미들이 상호 교섭하면서 새로운 의미를 창조해 가는 과정임에 반하여, 문어 담화는 동시적으로 이루어지기보다는 순차적으로 소통된다. 실제로 이러한 차이는 구어 담화와 문어 담화의 연구 방법론에서 두드러진다. 

구어 담화 자료는 직접 대화의 현장에서의 녹취나 녹화의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전사의 단계를 거치게 되며, 전사된 자료를 통해 언어적 특징과 언어와 동반되는 표정, 몸짓 등의 동반 언어적 특징을 분석한다. 구어 담화에서는 화자와 청자가 동시적으로 언어를 수행하며 현장에서의 대화 분석을 통해 소통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구어 담화 연구는 구어 담화 자료의 분석을 통해서 대화의 구조나 순서, 대화에 나타난 화자의 의도, 대화의 전략 등을 주로 다루게 된다. 이에 반해 문어 담화는 주로 전자화된 문서나 인쇄된 문서를 통해 수집하게 된다. 문자 외에는 동반 언어적 특징이 드러나지 않으므로 필자의 집필 의도를 완전히 해석하기 쉽지 않은 측면이 있어, 구어 담화에 비해 해석의 자의성이 넓어질 수 있다. 모든 문어 담화 역시 독자를 전제하고 있다고 하나, 독자의 참여가 동시에 이루어지지 않고 독자가 구체화되지 못한다는 점에서, 구어와는 달리 참여자 정보나 상황 정보가 적극적으로 다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문어 담화 연구는 주로 필자의 의도에 초점이 주어지며, 문어 담화 자체의 응결성이나 응집성, 문체 등의 연구에 초점을 두게 된다.

최근의 언어 사용 양상을 보면 구어냐 문어냐를 나누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왜냐하면 다양한 구어 자료가 존재하고 구어나 문어 모두 담화의 특성을 공유하는 언어 사용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런 측면에서 보면 단순히 구어냐 문어냐의 구분과 더불어, 만나서 풀어가는 것을 전제로 한 상호 작용이 즉각적으로 이루어지냐 아니면 비대면적이고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느냐에 따른 구분도 필요하다.

아울러 담화의 연구에 있어 고민해 볼 영역은 담화 자료의 범위이다. 언어를 다루는 학자들은 언어 자료에만 한정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학자에 따라 구체적인 언어 자료에만 한정할 것인지, 동반 언어적 요소, 동작 언어, 포스터와 같은 보조적인 언어 자료나 비언어적 사건이나 현상까지 포함해야 하는지에 대한 의견이 나뉘기도 한다. 

 

 

 

 

 

 

 

댓글